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분석

경매물건의 현장조사(아파트, 빌라등의 주택)

언젠가는 이런 멋진 별장을 가지고 싶네요.^^

안녕하세요 HB의 부동산 블로그예요

HB는 별다른 뜻은 없고 제 이름의 약자랍니다.^^

 

 

 

오늘은 경매가 나온 물건의 현장조사를 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까 합니다.

 

 

 

·우편물 확인

(해당 부동산의 우편물을 확인하여 수취 인명이 전입세대 열람내역의 점유자와 동일한 이름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관할 동사무소에서 전입세대를 열람합니다.

(임차 내역을 알기 위하여 관할 동사무소에서 전입세대 열람신청서를 찾아 양식에 맞게 적은 후 해당 경매물건의 정보지와 신분증을 같이 제출하면 됩니다. 500원 이하의 수수료가 드니 참고해주세요. )

 

 

·아파트나 오피스텔의 경우 관리사무소를 통하여 미납 관리비를 확인합니다.

(관리사무소에서 방문하여 먼저 경매 때문에 왔다고 밝힌 뒤, 미납 관리비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이때 팁이 있다면 본인 이외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경매의 목적 때문에 방문하였고 전화가 자주 왔는가

확인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관리소 직원이 생각치도 않았던 좋은 정보를 줄때도 있답니다.!

 

·주변 동네를 3바퀴 정도 걸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차로 둘러보는 것이 아닌 꼭 직접 걸어보시는 게 좋습니다.

내가 이곳에 살 것이다 라고 생각하면 가장 좋겠네요. 이는 지도상으로 주변 편의시설 유무를 확인하였어도

동네를 직접 걸어 다니는 것과는 많이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벨을 눌러 점유자를 만나봅니다.

(이 부분에서 많은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투자를 위해서라면 꼭 한번 벨을 눌러보시길 바랍니다.

운이 좋게도 점유자가 내부를 보여준다면 인테리어나 수리비 등도 대략적으로 계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꼭 벨을 눌러 만나보시길 바랍니다.

만약 해당 부동산의 점유자를 만나지 못하였다면 다른 층의 같은 호수로 가서 사정을 밝힌 뒤 내부를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내부를 확인하고 확인하지 못하고는 후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이때 명함과 음료수라도 가지고 가면서 이상한 사람 아니고 말하는 것도 의외로 효과가 있습니다.

보통은 명함을 받으면 어느 정도 의심의 눈초리가 풀리기 때문입니다.)

 

 

·중개업소를 5군데 이상 방문합니다.

(중개업소는 해당 경매물건의 대략적인 시세나 문제점 등을 알고 있을 경우가 많기 때문에 꼭 방문해보아야 합니다.

5군데 이상 가라고 권유드리는 이유는 중개업자도 사람이기 때문에 개인적인 의견이나 감정이 해당 부동산에 많이

이입이 되어 각각의 의견이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매수자 인척 중개업소를 방문하고는 하는데 이는 중개업소에서도 싫어할뿐더러 티가 많이 난답니다. 차라리 캔커피라도 하나 챙겨 가신 후 제가 여기 경매가 나와서 알아보려고 하는데 낙찰받게 되면 중개 부탁드릴 테니 좀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라고 하시는 게 가장 효과적입니다. 

 

솔직함이 나쁘진 않습니다.^^

 

이렇게 몇 군데의 공인중개사에서 정보를 얻었는데 많은 중개소에서 해당 부동산을 좋지 않게 이야기하여도 바로 입찰을 포기하지 마시고 문제점이 무엇인지 이것을 고치면 다른 문제는 없는지 고민하시길 바랍니다.

 

정말 문제가 많은 부동산이라면 입찰을 포기하시는 것이 현명하구요.^^)

 

 

·아파트의 경우는 아파트 단지 내의 상가나 주변의 이웃들에게 많은 정보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오피스텔의 경우는 주변 사람들끼리 커뮤니케이션이 없는 편이고 빌라나 주택 등은 아파트만큼 주변 이웃들이

밀집되어 있기 않기 때문에 아파트같이 세대가 많이 밀집된 곳에서 유용합니다.)

 

 

 

 

이렇게 대략적으로 임장에 가셔서 하셔야 하는 일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제가 일부러 번호를 붙이지 않고 ·으로 표시하여 정리하였는데

이는 순서가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어느 것이든 정보를 얻기 위해서 하는 행동인데 어느 곳에서 어떠한 행운으로 좋은 정보를 얻을지

그건 아무도 모르는 일이기 때문이에요.

 

예를 들어 아파트 관리소장님이 주민들과 많이 친하셔서 좋은 정보를 알고 계실 수도 있고

첫 번째로 방문한 공인중개사에서 좋은 정보를 얻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