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투자에 있어서 한 가지 방법은 해당 구나 동네에서 가장 좋은 대장 아파트와 비교해보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경매투자에서도 좋고, 일반 투자에서도 좋습니다.
똘똘한 1채의 아파트를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한 방법이기도 합니다.^^
간단하게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낙찰 혹은 매수 원하는 지역의 아파트를 전체적으로 분석합니다.
잘 알고 있는 지역일지라도 우선 전체적으로 시세를 분석합니다.
kb부동산도 좋고, 네이버 부동산도 좋고 여러분이 알고 계시는 모든 사이트 시세만 알 수 있다면 뭐든 좋습니다.
참고로 저는
부동산지인(https://www.aptgin.com/aptgin/main/MainView.do)사이트를 사용합니다.^^
(광고 아닙니다... 광고 누가 줬으면 좋겠어요.ㅠㅠ)
부동산지인
빅데이터 기반의 아파트 정보 사이트를 만나보세요
aptgin.com
기본 홈에서 '아파트 분석' 을 눌러보시면
지역을 선택할 수가 있습니다.
선택을 하게 되면 아래처럼 정보가 뜨는데요.
이렇게 OO지역의 OO구 OO동을 선택하면 전체 가격별, 평당 가격별로 구분하여
어떤 아파트가 시세가 높은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예시로는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동'으로 설정하였습니다.
현재는 한국아델리움1단지가 가장 비싼 아파트로 보이네요.
준공일까지 알 수 있으니 사용하시기에 굉장히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다음으로는,
해당 아파트의 매매가, 평단가, 전세가 등을 쭉 나열합니다.
엑셀이나, 한글, 기타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본인이 보기 편하게 정리하시면 됩니다.
아파트 | 매매가 | 평단가 | 전세가 | 기타 비고사항 |
한국아델리움1단지 | 12억 | 1200 | 10억 | 2006년 준공 |
남양휴튼2차 | 11억 | 1100 | 9억 | 지하철역 가까움 |
봉선더쉴 | 9억 | 900 | 7억 | 학원가 가까움 |
이런식으로 말이죠. 위 표의 내용은 예시를 든 것이기 때문에 본인이 가장 편하고 선호하는 방식으로 정리하시면 됩니다.
(표 안의 액수도 제 마음대로 적었습니다. 위 사이트 캡처본과는 금액이 다릅니다.^^)
이렇게 쭉 정리 해놓으시면 어느 순간 매매가나 평단가가 많이 차이나는 지점을 딱 보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평단가가 1000대였는데 어느 지점에서 900대로 확 줄어든다거나 하는 것입니다.
분명히 가격차이가 많이 나는 것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 차이점을 조사하시면 됩니다.
연식이 갑자기 많이 차이 난다거나 입지가 상대적으로 너무 좋지 않다거나 편의시설이 너무 부족하다거나 등등
여러가지 이유가 있고 그 정도의 차이만큼 가격도 차이가 날 것입니다.
이러한 부분들을 계속 체크해줍니다.
정리가 끝나셨으면, 그 이후 낙찰받거나 매수할 아파트와 정리해놓은 데이터와 비교하면 됩니다.
해당 지역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와 비교하였을때 부족하거나 더 좋은 점을 체크하고
후에 다시 검토해봅니다.
이 아파트는 이 동네의 대장 아파트에 비해 편의시설이 부족한데 평단 900만원대 아파트보다는 편의시설 접근성이 좋구나, 그렇다면 이 아파트는 나중에 대장 아파트만큼은 오르지 못하더라도 평단 900만원 이상의 가치는 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말이죠.^^
일종의 동네에서 잘 나가는 대장 아파트를 기준이자 목표로 세워두고 비교를 하는 방법입니다.
부동산에서 뿐만 아니고 다른 것에서도 종종 사용되기도 하는 방법이기도 하구요.
자기가 가장 잘 아는 동네라 할지라도 어디가 좋고 어디가 나쁜 것만 알지
이렇게 수치로 비교를 하게 되면 꽤 차이가 나서 놀라는 경우도 있고, 평단가로 따지면 차이가 많이 안나 놀라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대로 된 투자를 위해서라면 조금은 귀찮더라도 이렇게 데이터화 시켜놓는 것이 가장 좋답니다.
이 외에도 다른 부분들을 신경 써야 하는 것이 많지만, 그것은 추후에 하나씩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ㅎㅎ
내일부터 주말이기도 합니다.^^ 가족들, 친구들과 행복한 주말 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부동산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7.10 대책으로 오피스텔이 반사이익을 보고 있다. (0) | 2020.07.28 |
---|---|
아파트 공급물량 확인하는 방법(부동산지인) (0) | 2020.07.25 |
경매물건의 현장조사(아파트, 빌라등의 주택) (0) | 2020.07.12 |
경매 낙찰 살펴보기 (서울시 노원구 월계동 아파트) (0) | 2020.07.09 |